WANUAL
  • WANUAL
  • WHAT IS WANUAL?
    • 워뉴얼 소개
    • 획기적인 여자들
  • 기획이란?
    • 기획이란 무엇인가
    • 기획이 왜 어려운가?
    • 기획을 잘하려면?
    • *여성 친화적인 기획?
  • 기획 A to Z
    • [공통] 기초작업
      • [공통] 킥 오프 회의하기
      • [공통] 기획서 작성하기
      • [공통] 예산안 작성팁
    • 행사기획
      • [행사] 행사 기획이란 무엇인가?
      • [행사기획] 300명 규모 행사 기획하기
      • [행사기획] 실패사례
      • [행사기획] 행사기획의 기본
    • 공간기획
      • [공간기획] 첫 공간기획을 앞두신 분들에게
      • [공간기획] 공간 운영을 커리어로 만드는 방법
    • 콘텐츠 기획
      • [콘텐츠기획] 공감을 이끄는 컨텐츠 기획하기
      • [콘텐츠기획] 삐악이 편집자를 위한 출판기획 매뉴얼
      • [콘텐츠기획] 광고기획
      • [콘텐츠기획] 영화제 기획
      • [콘텐츠기획] 디지털 콘텐츠 시나리오 기획
      • [콘텐츠기획] YouTube 인터뷰 영상 기획하기
      • [콘텐츠기획] 잡지 기획하기
    • 사업기획
    • 커뮤니티 기획
      • [커뮤니티 기획] 오프라인 커뮤니티 기획
      • [커뮤니티 기획] 글로벌 커뮤니티 기획하기
    • 제품기획
      • [제품 기획] 제품 촬영 기획하기
    • 서비스기획
      • [서비스 기획] 웹 기획
  • 케이스
    • [기획 시작하기] 대학생 예비 기획자가 기획을 시작하는 방법
    • [커뮤니티 기획] 글로벌 커뮤니티 (GSMF) 운영 사례
  • 그 밖의 이야기
  • 워뉴얼 작성에 도움 주신 분들
  • 워뉴얼 사용법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기획 • 아이디어 디벨롭 및 시나리오 기획
  • 1. 스테이지 작성 (excel 표)
  • 2. 초안 작성 (draft)
  • 3. 검수 (pricing)
  • 4. 최종 시뮬 (play)
  • 5. 퍼블리시
  • TIP
  • 1. 시나리오 쓰기 전, 한번 큰 시놉시스를 써보는 것이 좋음
  • 2. 시나리오의 세계관과 인물 설정은 자세할수록 좋음
  • 3. 여럿이서 시나리오를 기획하는 경우?
  1. 기획 A to Z
  2. 콘텐츠 기획

[콘텐츠기획] 디지털 콘텐츠 시나리오 기획

Written by 면상킬러

기획 • 아이디어 디벨롭 및 시나리오 기획

간략하게 시나리오의 주제, 등장인물, 줄거리 등을 정함 기획 회의 때 피드백 후 통과 시 진행

1. 스테이지 작성 (excel 표)

  • 각 스테이지 세부 내용들을 큰 틀에서 작성해보기

  • 바로 시나리오 매니저에 (어플과 연동되는 홈페이지) 이야기와 대사를 쓰기보단, 엑셀 표를 작성하여 각 스테이지의 줄거리, 등장인물 등을 설정하기

  • 기-승-전-결 확실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

1-1.검토 (틀잡기)

  • 검토 회의. 설정한 스테이지에 대한 피드백 받기

  • 스테이지 세부 내용을 통해 검수자가 흐름, 변수 등을 파악

  • 스토리의 수정이 필요할 경우, 추후 스테이지의 내용이 바뀌기 때문에 피드백이 중요함

2. 초안 작성 (draft)

  • 시나리오 매니저 프로그램에 초안을 써보기

  • 세세한 부분(인물의 프로필, 말투, 필요한 이미지 및 효과)는 나중에

  • 줄거리 및 인물들의 성격 등을 파악하고 스토리의 재미와 신선도 등을 알아보는 단계

2-1. 수정 (반복)

  • 피드백 회의 후, 각 팀원의 의견 듣기

  • 큰 줄기는 거의 바뀌지 않으나 의견에 따라 등장인물 및 스토리가 달라질 수 있음

  • 중요한 단계이기 때문에 몇 주에 걸쳐 진행될 수 있음. 피드백-수정 단계 반복.

3. 검수 (pricing)

  • 피드백 토대로 수정된 콘텐츠를 좀 더 꼼꼼히 검수하는 단계

  • 시나리오 기획자는 해당 콘텐츠를 어플에 임시 업로드, 시뮬레이션 해 보면서 대사의 타이밍, 말투 등 작은 부분도 수정하기

  • 여러 번 검수 후, 스토리 릴리즈 확정을 받는 단계

4. 최종 시뮬 (play)

  • 컨펌 후, 릴리즈 전 세세한 부분 설정 및 수정, 스토리 확정 짓기

  • 등장인물의 프로필, 사진 등 업로드 완료하고 맞춤법과 대사 또한 다시 한번 검토

  • 필요한 이미지 및 효과 작업 완료

  • 스테이지 간의 과금 설정도 본 단계에서 결정

  • 어플로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 하기

5. 퍼블리시

  • 어플에 콘텐츠로 릴리즈

  • 추후 리뷰나 댓글 통해 받은 피드백을 토대로, 스토리를 바꿀 수 있음.

TIP

1. 시나리오 쓰기 전, 한번 큰 시놉시스를 써보는 것이 좋음

이야기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고, 설정상의 오류를 초기에 발견하기가 쉬움

2. 시나리오의 세계관과 인물 설정은 자세할수록 좋음

일관된 등장인물, 스토리의 개연성은 결국 탄탄한 세계관에서 나옴. 내 작품, 인물과 스토리 설정에 대해 빠삭하게 알아야 하며, 그래야 나중에 스토리의 흐름이 바뀌게 되더라도 스토리의 주제와 줄기를 잃지 않을 수 있음.

3. 여럿이서 시나리오를 기획하는 경우?

(프로젝트 기획) 등장인물들이 많이 등장하여 혼자 쓰기 어려운 스토리 상 여럿이서 각 캐릭터를 맡아 쓰기도 함. 시나리오와 순서는 동일하지만, 스토리의 큰 줄기를 잡는 사람이 필요함. (스토리가 산으로 가는 걸 막기 위함)

시나리오 관리자는 각각 스테이지를 엑셀 등에 순서대로 정리, 시간순대로 한눈에 알아보게 하여 어색한 설정을 방지하고, 단체 스토리와 개별 스토리를 구분하여 각 스토리들의 흐름상 오류가 없는지 체크해야 함. 따라서, 단체 시나리오 경우에는 시나리오 매니저 프로그램에 바로 스토리를 옮기지 않음.

각각의 팀원들은 각자 다루는 등장인물의 개별 스토리를 엑셀에 먼저 씀. 등장인물 여럿이 등장하는 단체 스테이지는 스토리 관리자가 먼저 스테이지의 스크립트를 적은 후, 각 팀원에게 대사에 대한 지시를 내리는 것이 효율적임.

그 스크립트 지시를 보고 나머지 팀원들이 자신이 맡은 등장인물의 대사를 추가하고 수정하는 방식. 주 1회 피드백 회의 및 추후 스테이지 기획 아이디어 공유는 필수. 이 작업이 모두 끝나고, 스테이지들이 대략적으로 나온 경우 프로그램 매니저에 초안 작성을 시작함.

Copyrightⓒ2018 BreakthroughWomen All rights reserved.
This Page has been written and edited by Juhyeon Lee.
Previous[콘텐츠기획] 영화제 기획Next[콘텐츠기획] YouTube 인터뷰 영상 기획하기

Last updated 6 years ago